1.기본 개념 도메인 이름 -> IP주소로 변환 or IP주소 ->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NS 서버에는 전세계 도메인과 각각의 도메인에 연결된 IP 주소들이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가 주소창에 도메인을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DNS에 IP주소를 요청하게되고 DNS는 해당 도메인에 맞는 IP 주소를 찾아 브라우저에 전달한다. 그 다음 브라우저는 해당하는 IP주소의 웹 서버에 연결하게 된다. 2. 요청과 응답 과정 1. 유저가 브라우저에 도메인을 입력 2. 브라우저는 www.example.com(도메인)을 로컬 DNS 서버(DNS resolver)에 보내 IP를 요청 ( 이때 로컬 DNS 서버에 이 주소의 IP가 담긴 캐시가 있다면 바로 7번으로 건너뛴다. ..
1. 도메인(Domain) 기본개념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사이트 진입 시 IP 주소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주소, 이름처럼 사용할 수 있는 것 도메인 이용 시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운 IP 주소를 보다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다. 사용 방법 도메인 등록 대행업체 통해 구입, 사용 가능 도메인 등록 대행업체에서 도메인명을 검색 시 이미 구매 여부, 몇 년 단위, 얼마에 구입했는지 확인 가능! 대표적인 도메인 등록 대행업체 가비아(www.gabia.com), 후이즈도메인(whois.co.kr) GoDaddy(kr.godaddy.com), namecheap(www.namecheap.com) 2. 도메인 체계 “.” 또는 루트(root)라 불리는 도메인 이하에 역트리(Inverted tree) 구조로 구성 루트 ..
1. 계층별 역할 # OSI 참조 모델 계층 대 계층 통신 계층 이름 설명 7계층 응용 계층(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6계층 표현 계층(Presentation) 문자코드, 압축, 암호화 5계층 세션 계층(Session) 통신 방식 결정 4계층 전송 계층(Transport) 신뢰성 있는 통신 구현 3계층 네트워크 계층(Network)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IP주소 결정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물리주소 결정 1계층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 변환 1-1 5계층 세션(Session) 계층 # 데이터 통신을 위한 논리적인 연결 = 통신을 하기위한 대문 세션을 열고 닫고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의 계층 세션 설정, 유지, 종료,..
1. 계층별 역할 # OSI 참조 모델 계층 대 계층 통신 계층 이름 설명 7계층 응용 계층(Application)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6계층 표현 계층(Presentation) 문자코드, 압축, 암호화 5계층 세션 계층(Session) 통신 방식 결정 4계층 전송 계층(Transport) 신뢰성 있는 통신 구현 3계층 네트워크 계층(Network)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IP주소 결정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물리주소 결정 1계층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 변환 1-1. 물리(Physical) 계층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 대의 컴퓨터가 전선을 통해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듈 목적 들어온 전기 신호를 그대로 잘 전달하는..
1. 탄생 배경 1. 1960년대에 미 국방성에서 알파넷이라는 이름으로 최초 네트워크를 개발 후 -> 미국 내에 배포 -> 네트워크에 규칙이 없어서 큰 문제 -> 1970년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OSI 7계층 모델을 만들어서 네트워크 기본 구조 가이드 -> 네트워크를 계층화 한 7개 계층은 각각의 규칙을 가지고 네트 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가이드 ->1980년대 우리나라를 시작으로 독일 등 각국 글로벌 네트워크 연결 ★OSI 7계층 모델에 계층별 규칙을 모두 완성 후 구축하려 했음 But 생각보다 오래걸림 ->1990년대 최종적으로 검증완료된 TCP/IP 규칙(프로토콜)이 표준 OSI 7계층 모델보다 먼저 나옴 즉, OSI = 7개의 계층 오래된 TCP/IP 프로토콜 = 5개의 계층만 ..
데이터베이스에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보조 기억장치에대해 알아야한다. 1. 보조 기억장치 흔히 하드디스크, SSD라고 알고 있는 그 부품이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반영구적으로 저장 2. 전원을 끄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나 정보가 날아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 따라서 우리가 설치하는 모든 프로그램이나 파일들은 이곳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된다. 보조 기억장치는 여러가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 = 파일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 카카오톡으로 예시를 들어본다면 카카오톡 실행 -> 파일 시스템으로 저장된 카카오톡 실행 파일을 보조기억장치에서 로딩한것! 카카오톡 프로그램 속 메세지 목록 ->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 데이터 2. 파일 시스템 2-1 특징 1. 개별적인 파일들을 보..
프로세스 = 메모리 상 실행중인 프로그램 쓰레드 = 프로세스 속 실행되는 흐름 단위 프로세스 = 최소 하나의 쓰레드를 보유 각각 별도의 주소공간을 독립적으로 할당 받는다(code, heap, stack) 1. 프로세스: 자신만의 고유 공간, 자원 할당받아 사용 1-1 프로세스 만으로 작업 처리할 시 문제점 1. 프로세스 생성에 큰 오버헤드가 있음 2. 프로세스를 생성할때 많은 시간 소요 3. 프로세스 컨텍스트 스위칭의 비효율성 ( 오버헤드가 큼) 4. 프로세스 사이에 통신 어려움 5. 비용이 비싼 IPC 사용해서 통신 (또는 LPC, 공유 메모리) #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프로세스간 통신을 위한 메커니즘 프로세스 간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방법 Message Queu..